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우울증
- 인공지능
- 대학원
- 석사
- Word2Vec
- word embedding
- Classification Task
- NLP
- naver movie review
- 자연어처리
- sentiment analysis
- 수기
- 품사태깅
- 전처리
- CUDA
- pytorch
Archives
- Today
- Total
슬기로운 연구생활
[프로그래머스] 완주하지 못한 선수 본문
* 문제
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576
코딩테스트 연습 - 완주하지 못한 선수
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.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.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��
programmers.co.kr
* 문제 풀이
- 첫째, participant와 completion 리스트를 정렬합니다.
- 둘째, 반복문을 이용해 participant와 completion 리스트의 값을 하나 하나 꺼낸 후, 값이 다르면 정답으로 판단합니다.
- 셋째, try/except를 사용해 index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는 제일 마지막에 있는 participant 값이 정답입니다.
participant는 completion보다 값이 하나 더 많기 때문에 끝까지 반복하다 보면 index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예시 : participant = [A, B, C, C] / completion = [A, B, C]인 경우 제일 마지막에 있는 값이 정답입니다.
* 생각
- 처음에는 for문에 participant.remove(completion[i])를 해서 접근했는데 해당 방법은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.
- 그래서 각 리스트를 정렬한 후 값이 다를경우 정답으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접근했습니다.
- 다른 사람들의 정답을 보니 collection.counter()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인상적이였습니다.
* 코드
def solution(participant, completion):
participant.sort()
completion.sort()
answer = ""
for i in range(0, len(participant)):
try:
if participant[i] == completion[i]:
pass
elif participant[i] != completion[i]:
answer = participant[i]
break
except:
answer = participant[-1]
return answer
'슬기로운 코테 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2016년 (0) | 2020.10.29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(0) | 2020.10.25 |
[프로그래머스] 체육복 (0) | 2020.10.24 |
[프로그래머스] K번째수 (0) | 2020.10.23 |
[프로그래머스] 모의고사 (0) | 2020.10.20 |
Comments